▲ 그래픽_황성환 뉴스워커 그래픽 1담당

지난 1월 28일, 금융당국이 삼성증권에게 내린 신규주식영업 정지 6개월의 제재가 종료됐다. 제재 종료에 따라 삼성증권이 본격 영업재개에 나선 가운데, 삼성증권은 지난해 4월의 배당사고 사태이후 얼마나 달라졌을까.   

지난해 삼성증권은 세간을 당혹케 한 증권사고로 이목을 끌었다. 2018년 4월 6일, 삼성증권에서 전산 직원의 실수로 사주를 가진 2018명의 삼성증권 직원들에게 1주당 1000원 대신 1000주가 배당됐다. 이날 주문 차단이 이뤄지기까지 약 38분 동안 21명이 매도를 시도했고, 이중 16명이 회사 측의 배당 실수를 인지하고 거래정지 명령을 받았음에도 매도를 진행했다.

당시 삼성증권 직원 단톡방에서 고배당을 받은 직원은 “배당금으로 200만 원을 줘야하는데 전산 직원이 200만 주를 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다른 직원들 사이에서 ‘팔면 장땡 아니냐’, ‘빨리 팔고 퇴사해라’, ‘감옥 2년 가도 연봉 50억이다’, ‘미리 현금화 후에 100억 중 3억으로 변호사 선임해라’ 등의 말들이 오갔다. 

해당 사고 당시 ‘유령 주식’ 501만주가 매도됐고, 삼성증권 주가는 전일 종가 대비 12%가 급락해 증권가가 떠들썩했다. 이로 인해 삼성증권은 92억 원의 손실이 있었으며, 당일 피해 투자자는 500여명에 이르렀다고 전해졌다.

검찰은 사건과 관련해 지난해 7월 9일 200억 원 이상을 고의로 매도한 직원 3명을 구속 기소했고, 그보다 금액이 적은 직원 5명은 불구속 기소했다.

당시 사건은 직원들의 실수와 모럴헤저드인 것으로 마무리됐다. 일각에서는 직원의 실수였다면 잘못 들어온 주식을 현금화해서 챙길 방법이 있어야 하는데 매도 대금의 거래일과 결제일이 달라 챙기기 어렵다는 점을 들어, 단순히 그런 차원이 아니라 주가하락을 노린 공매도라는 얘기도 나왔다.

삼성증권, 배당사고 이후 ‘절치부심’?.. 배당금 확대, 업계 ‘호평’

배당사고와 관련해 삼성증권은 지난해 7월말부터 올 초 1월까지 약6개월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에 대해 삼성증권이 프라이드를 되찾고자 ‘절치부심’한 결과일까. 삼성증권은 이달 예정된 주주총회를 앞두고 달라진 태도와 배당정책 등에 대해 호평을 받았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이달 주주총회에서 배당금 확대와 등기이사 선임 등을 주요 안건으로 올리게 된다. 국내 증권사 21곳 중 12곳 증권사들이 주총 날짜를 확정한 가운데, 삼성증권은 오는 22일 주주들에게 주당 1400원의 금액을 현금배당할 계획이다.

삼성증권의 배당금 총액은 1250억 원으로, 2017년 893억 원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인 배당성향도 2017년 32.88%에서 2018년 46.03%로 10% 이상 증가했다.

13일 한 매체 보도에서 현대차증권 정태준 연구원은 “가장 인상적인 배당정책을 제시한 회사는 삼성증권”이라며 “올해 주당배당금(DPS) 및 배당 상승에 그치지 않고 향후 점진적인 확대 가이던스를 밝힌 것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증권은 지난 1월 말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바이오벤처인 셀리드에 주관사로 참여했고, 이어서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 스마트폰, ESS 등에 적용되는 핵심소재와 부품을 만드는 아모그린텍의 주관을 맡을 예정이다. 그동안 우량 회사를 담당하던 삼성증권이 두 기술 특례 기업의 상장을 담당하며 공격적인 영업을 펼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에 대해 삼성증권 관계자는 “삼성증권이 적극적이라고 표현하는 부분은 영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것이지 공격적인 영업을 하겠다는 건 아니다”라며 “예전에 영업 면에서 보수적인 시선이 있었다면, 좀 더 고객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품들에도 다양하게 시야를 넓히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배당수익율 상승폭에는 아쉬운 평가.. 글로벌 수준 못 미쳐

이번 주주 총회에서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비율인 배당성향은 증가했지만, 이후 배당수익률이 크게 상승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는 지적이 있다.

배당금 확대를 했지만 그 수준이 미미하다는 의견에 대해 삼성증권 관계자는 “배당 성향만 놓고 보면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 결코 미미하지 않다”면서 “실제로도 배당이 나오는 기업 중 고배당주로 분류돼있어, 배당이 낮다는 건 맞지 않는 포인트인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 상장사들이 배당을 늘렸다 해도 글로벌 수준엔 아직 못 미치는 것도 사실이다. 경향비즈 보도에 따르면, 배당확대 압박이 커지면서 배당성향이 국내에서 처음 20%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309개 기업을 대상으로 평균 배당성향은 전년 16.4%에서 올해 21.2%로 5% 가까이 상승했다. 2017년 기준 주요국 배당성향 중 제일 낮은 일본이 29%, 제일 높은 호주가 66.56%를 차지하는 것을 봐도 국내는 많이 낮은 수준이다.

그간 국내기업들의 낮은 배당성향은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논란이 되기도 했고, 국내주식이 저평가되는 원인으로도 지적을 받아왔다. 제조업이 많은 국내 기업 특성상 투자를 위한 유보자금을 위해 배당이 인색한 측면이 컸고, 현금배당시 납부해야 하는 세금 때문에 국내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배당확대를 꺼려했던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 현 배당금 이슈.. 지난 배당사고와는 단호한 선긋기

배당금 이슈와 관련, 배당금 확대가 지난해 사고로 인한 영업정지 이후로 나온 적극 행보인지 묻는 질문에 삼성증권 관계자는 “배당금 책정 부분과 지난 배당사고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며 “배당금 자체가 한해 벌어들인 이익에 대해 주주들에 이익 배당을 하는 개념인거지, 과거의 어떤 이슈 때문에 배당금을 늘리고 줄이고 하는 경우는 없다”고 강조했다.  

배당금은 향후 성장하기 위해 얼마를 쓸지, 지분을 갖고 있는 고객들에게 어떻게 돌려드릴지 판단을 하는 것이지, 지난해 사고에 대한 달래기 차원에서 배당을 더 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배당사고 이후의 연장선상에서 변화하고자 하는 노력인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도 “이미 사고 이후 관련된 교육 등의 조치들을 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영업이슈와는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당시 취한 조치들에 대해서 관계자는 “배당사고 이후 변화관리 사무국을 만들어 직원들 대상으로 윤리의식 교육, 마인드 교육 등을 조직 문화 개선차원에서 진행할 뿐 아니라, 몇 천개가 되는 회사 프로세스 전수 점검 등을 하는 등 금융당국이 지적한 시스템 부분을 개선했다”고 말했다.

직원들의 모럴해저드에 대해서는 “해당 직원들이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며, 그 직원들에게 회사의 피해에 대한 보상권을 청구하기도 했다”면서도 “주가하락으로 피해본 사람들에게는 피해자 구제 전담반을 만들어 100프로 보상을 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증권의 배당사고 후 1년이 지난 지금, '배당오류 사태 구원투수'라는 수식어를 단 장석훈 대표이사가 지난해 대표이사 직무대행에 이어 정식으로 올 한 해를 이끌고 있다. 앞으로 장 대표는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서는 동시에 투자은행(IB) 내실 강화와 자산관리(WM)의 협업 강화 등으로 시너지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풀어야할 삼성증권 관련 제재들이 남아있는 만큼, 지난 배당사고의 상흔과 함께 같은 문제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내실 있는 변화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